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독일생활] 한국 운전면허에서 독일 운전면허로 교환하는 방법 독일에서 살아가다 보면 대중교통만으로는 불편한 순간들이 종종 생긴다. 특히 장거리 이동이나 시골 지역에 갈 일이 많다면 운전면허는 큰 도움이 된다. 오늘은 직접 한국 운전면허에서 독일 운전면허로 교환했던 이야기를 해보자 한다. 나는 장롱면허지만 한국 운전면허증을 이미 가지고 있었고, 입독시 필수 준비물에 한국 운전면허증을 보았기 때문에 챙겨 왔다. 만약 이 글을 입독 전에 보는 분 중 한국 운전면허증이 있다면 지금 당장은 독일에서 운전할 마음이 없더라도 사람일은 모르니 꼭! 반드시! 챙겨 오시길 바란다. 2017년 내가 독일로 올 당시에는 입국  6개월 후에 한국 면허증을 독일 면허증으로 교환할 수 있다고 알고 있었기 때문에 초반에 적응하느라 잊고 있었다.. 갑자기 독일 면허증이 필요할 수도 있으니 입독.. 2025. 4. 4.
[독일생활] 독일의 부활절(Ostern) 독일 부활절(Ostern)은 왜 특별할까?독일에 살면서 가장 먼저 체감한 것 중 하나는 '공휴일이 정말 많고, 그에 따른 분위기가 강하다'는 점이었다. 오늘은 큰 공휴일 중 하나인 독일의 부활절(Ostern)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크리스마스는 물론이고, 부활절이나 성령강림절 같은 종교적 공휴일이 여전히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활절(Ostern)은 단순한 휴일을 넘어, 가족 중심의 연휴이자 봄을 알리는 상징적인 시기로 여겨진다.필자 또한 직장에서 부활절 시기에 매년 2주정도 휴가를 받았고, 이 시간동안 해외로 휴가를 가곤 했다. 이 시기는 극성수기라 모든지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2주정도 휴가를 받는 것만으로도 기뻤으므로 무교인 필자도 독일에 온 이후로는 부활절을 기다리곤 했다.이 글.. 2025. 4. 4.
[독일생활] 전세 없는 독일의 집문화, 한국과 이렇게 다르다 독일에 처음 와서 집을 구하고 살아보니, 한국과는 정말 다른 주거문화가 있다는 걸 실감했다. 오늘은 전세 없는 독일의 집문화, 한국과 어떤 것들이 다른지 소개하고자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던 전세 개념은 아예 없고, 주방 없는 집을 만나기도 하며, 집을 구하는 데 엄청난 경쟁이 붙기도 한다. 독일에서는 단순히 ‘사는 공간’을 넘어서, 삶의 방식과 가치관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문화적 요소로서 ‘집’이 자리잡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독일의 집문화에 대해 살면서 직접 겪은 이야기들과 함께 자세히 소개해보려 한다.  독일엔 ‘전세’가 없다? 임대 중심의 주거 문화독일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세 없이 월세(Miete)로 거주한다. 한국처럼 큰 목돈을 맡기고 사는 전세 제도는 아예 없으며, 집을 사지.. 2025. 4. 4.
[독일생활] 뚜벅이 7년차(feat.자동차는 생활 필수품일까?) 독일 뚜벅이 7년차입니다. 오늘은 독일에서 ‘자동차’는 생활 필수품일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대중교통 vs 자가용 문화독일은 자동차 산업의 본고장답게 도로 위에는 BMW, 벤츠, 아우디, 폭스바겐 같은 브랜드가 흔하게 보인다. 한국에서 독일을 떠올리면 '아우토반'이나 '자동차 왕국'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로 독일에 살아보면, 자동차가 꼭 생활 필수품은 아닐 수도 있다는 걸 느끼게 된다. 대중교통이 잘 갖춰진 지역도 있고, 오히려 자가용보다 불편한 점도 있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독일에서 자동차가 얼마나 필수적인지, 대중교통과 자가용 문화의 차이를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다.독일 대중교통의 현실: 잘 돼 있지만, 100% 믿긴 어렵다독일은 유럽에서도 대중교통 인프.. 2025. 4. 4.
한복의 뜻 한복(한국 한자: 韓服, 문화어: 조선옷)은 고대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대한민국의 고유한 의복이다.[1][2] 대다수의 평민들은 계량복 혹은 반바지 등을 입었으며 한복의 기본 구성인 치마와 저고리, 바지 등은 변치 않고 오랜 세월 동안 기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3] 호복으로써 한복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기본적으로 활동성을 중시하며 딱 붙는 옷이 아니다. 또한 천 자체를 보면 직선형이지만 몸에 입을 경우 곡선이 살아나게 도와주는 미적 특징도 나타나는데[4][5] 이는 주머니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현대의 한복은 보통, 조선시대에 입었던 한복과 유사성이 크며 명절이나 격식을 갖추는 자리에서 입는 경우가 많다. 개량한복은 생활의 편리함을 강조하고 있어 20세기 동안 그 외형이 여러 변.. 2025. 4. 2.